1. 부기의 분류
부기는 기업의 경영활동으로 인한 재산상의 변화를 일정한 원리에 의하여 장부에 기록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① 단식부기(single journal entry bOok- keeping) : 하나의 거래를 발생한 거래의 한쪽 면만을 기록하는 방식의 부기
② 복식부기(double joumal entry book-keeping) : 하나의 거래를 두 가지로 나누어 기록하는 방식의 부기
(1) 단식부기
단식부기는 하나의 거래에 대하여 해당 거래와 관련된 여러 항목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그 변동만을 기록하는 방식의 부기를 말한다. 학생들이 부모님으로부터 수령한 용돈의 수입 명세와 지출명세를 기록하는 용돈 기록장이나 주부들이 생활비의 수입 명세와 지출 명세를 기록하는 가계부가 단식부기의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단식부기는 일정한 장부 기록의 원리나 형식이 존재하지 않으며, 주로 현금의 수입과 지출, 채권 • 채무 및 상품의 변동명세만을 기록한다. 단식부기는 기록이 간편하지만 재산 상태나 당기순이익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현대 회계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2) 복식부기
복식부기는 대차 평균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업의 모든 재무 상태의 변동과 경영성과는 계정(account)을 이용하여 기록, 계산하는 방법이다.
복식부기는 계정의 차변과 대변에 동일한 금액을 이중으로 기록하므로 기록, 계산상의 오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기검증기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모든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성과는 기록하는 방법으로 복식부기가 사용되고 있다.
2. 회계상의 거래
기업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많은 활동들을 수행하며, 그러한 활동의 결과로 많은 경제적 사건들이 발생한다.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사건 중 기업의 자산이나 부채 및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들을 회계상의 거래(transaction)라고 한다.
회계상의 거래는 모두 부기의 대상이 되며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회계상의 거래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말하는 거래와는 개념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구입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자동차를 구입하는 계약을 체결하면 우리는 자동차를 취득하는 거래를 하였다고 주장하지만 구입계약을 체결하였다고 해서 자산이나 부채가 증감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자동차 구입계약은 회계상의 거래는 아니다. 자산이나 부채는 자동차 구입대금을 자동차회사에 지급하거나 자동차회사로부터 자동차의 소유권을 이전받은 이후에도 구입대금 중 일부를 지급하지 않은 경우에 증감하게 된다.
한편, 상품을 보관 중인 창고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우리는 거래를 하였다고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화재로 인하여 창고건물과 건물에 보관 중인 상품이 소실되었으므로 자산 되어 회계상으로는 거래에 해당한다.
3. 대차평균의 원리
(1) 거래의 구성요소
회계상의 거래는 기업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사건 중 기업의 자산이나 부채 및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을 말한다. 따라서 회계상의 거래가 발생하면 자산의 증가와 감소, 부채의 증가와 감소, 자본의 증가와 감소라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본의 증가와 감소는 주주와의 자본거래가 아닌 경우 당기순이익을 구성한다. 외부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당기순이익의 구성 항목들을 구분하여 보고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본의 증가와 자본의 감소를 각각 구분하여 보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자본의 증가는 수익, 자본의 감소는 비용이라고 하며, 수익과 비용의 증감보다는 수익과 비용의 발생이라고 표현한다. 재무상태표에서 자산은 차변에 표시하고 부채와 자본은 대변에 표시하므로 자산의 증가는 차변에, 부채와 자본의 증가는 대변에 표시한다. 그러므로 자산의 감소는 대변에 부채와 자본의 감소는 차변에 표시한다. 한편, 수익의 발생은 대변에, 비용의 발생은 차변에 표시한다.
(2) 거래의 이중성
회계는 복식부기 방식에 따라 기록하며, 복식부기에 따르면 회계상의 거래는 자변과 대변에 동일한 금액을 각각 기록한다. 따라서 모든 회계상의 거래는 2가지 이상의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거래의 이중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토지를 외상으로 구입하는 회계상의 거래를 생각해 보자. 토지를 구입하면 토지라는 자산이 증가하므로 동 금액을 차변에 기록하고, 외상 구입하였으므로 미지급금이라는 부채가 증가하게 되어 동 금액을 대변에 기록한다. 이 거래는 자산의 증가와 부채의 증가라는 2가지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토지를 구입하면서 일부는 현금으로 지급하고 일부 금액은 외상으로 하는 회계상의 거래를 생각해 보자. 이 거래에서는 토지라는 자산이 증가하는 동시에 현금이라는 자산이 감소하며, 미지급금이라는 부채가 증가한다. 이 거래는 자산의 증가, 자산의 감소 및 부채의 증가라는 3가지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3) 거래요소의 결합 관계
회계상의 거래는 자산의 증가와 감소, 부채의 증가와 감소, 자본의 증가와 감소, 수익과 비용의 발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8가지의 요소를 거래의 8요소라 하며, 거래의 8요소가 서로 결합하는 관계를 거래 요소의 결합 관계라고 한다. 거래 요소들은 차변 요소와 대변 요소가 결합하여 조합을 이루며 같은 차변 요소끼리 또는 같은 대변 요소끼리는 절대 결합하지 않는다. 거래 요소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자산의 증가에 관한 예를 들어 보자. 회계상의 거래로 인하여 차변에 자산의 증가가 기록되면 대변에는 자산의 감소, 부채의 증가, 자본의 증가 및 수익의 발생이 기록된다.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의 분류(재무회계, 원가회계, 세무회계) (0) | 2023.07.05 |
---|---|
회계의 기초 이론(의의, 수요와 공급) (0) | 2023.07.05 |
수취채권과 지급채무, 매출채권과 매입채무 (0) | 2023.07.03 |
재무상태표의 기본요소(자산, 부채, 자본)와 재무상태표 (0) | 2023.07.03 |
재무 보고와 일반목적 재무제표, 기업회계기준 (0) | 2023.07.02 |